“서울에 내 집 마련하려면 월급 한 푼 안쓰고 14년 모아야”

  • 입력 2022.12.21 11:49
  • 수정 2022.12.21 17:09
  • 기자명 박예솔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기준으로 월급을 한푼도 쓰지 않고, 14년간 모아야 서울에서 내집을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10년이 소요된다.

2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1년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 지역의 중위 PIR(연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은 10.1배로 전년(8.0배)보다 높아졌다. PIR은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모았을 때 집을 살 때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뜻한다. 10.1년치 월급을 쓰지 않고 꼬박 모아야 수도권에서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수도권 PIR은 2008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넘게 6.7~6.9배 수준에 머물렀으나, 집값이 급등한 2020년 8.0배로 뛰었고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특히 서울의 PIR은 2020년 12.5배에서 지난해 14.1배로 뛰었다. 세종(10.8배)과 경기(9.9배)도 내 집 마련에 10년 안팎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광역시(7.1배), 도 지역(4.2배) 모두 전년보다 PIR이 상승하면서 전국 PIR도 5.5배에서 6.7배로 뛰었다. 생애최초 주택을 마련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7.7년으로 2020년과 동일했다.

지난해 주택 자가 보유율은 2020년과 동일한 수준인 60.6%였다. 영끌 매수가 집중됐던 수도권 자가 보유율은 2020년 53%에서 작년 54.7%로 상승했다. 이는 2008년(56.6%)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다. 반면 광역시 등은 62.2%에서 60%로, 도지역은 71.4%에서 69%로 감소했다. 자가보유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자가점유율은 57.3%로 전년 대비 0.6%p 하락했다. 자가점유율은 2019년(58.0%) 이후 2년 연속 내렸다.

지난해 전체 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7.5년으로 집계됐다. 자가 가구(10.5년)가 임차가구(3.0년)에 비해 오래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주택 보유 의식은 88.9%로, 2020년(87.7%)보다 증가해 대부분이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청년층의 주택 보유 의식이 81.4%로 전년(78.5%)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신혼부부 가구 역시 90.7%가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청년 가구는 대부분 임차(81.6%)로 거주하고 있으며, 단독 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37.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최저 주거 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7.9%로 일반 가구(4.5%)보다 높았고, 1인당 주거면적도 30.4㎡로 일반가구(33.9㎡)보다 좁았다.

신혼부부 가구의 경우 43.9%가 자가에 거주하고 있고, 대부분 아파트(72.5%)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 주거 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2.4%로 일반가구(4.5%)보다 낮은 편이나, 평균 가구원수가 많아 1인당 주거면적(27.5㎡)은 일반가구(33.9㎡)보다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으로 청년층은 ‘전세자금 대출지원’(38.1%)을 꼽았고, 신혼부부 가구는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49.3%)을 선택했다.

저작권자 © 피플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