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에 ‘저소득층·청년·여성’ 고용 충격 직격탄

  • 입력 2022.08.03 12:03
  • 수정 2022.08.03 14:42
  • 기자명 박예솔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고용 충격이 저소득층과 여성, 청년층 등 취약계층에게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코로나19가 2020년 취약계층 직장유지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소득 하위층)의 직장유지율은 약 8.4%p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중위층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직장유지율이 약 3.2%p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으나, 소득 상위층의 경우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직장감소율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충격이 소득이 낮은 계층에서 더 크게 나타난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직장감소율의 감소를 실직자 대비 비율로 환산하면 2020년 소득 하위층에서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4명은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 중위층의 경우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3명이 코로나19로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진성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분석대상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2018년 최저임금이 급격히 상승했을 당시 최저임금 적용대상 저임금근로자에서 실직자 10명 중 약 3명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일자리를 잃었다”며 “그 결과와 비교해보면 코로나19가 저소득층에 미친 영향은 이보다 큰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는 2020년 청년층의 직장유지율도 약 4.3%p 감소시켰다. 여성의 직장유지율 역시 약 3.5%p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의 직장유지율에는 코로나19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직자 대비 비율로 환산하면 청년이나 여성 등 취약계층에서도 2020년 실직자 10명 가운데 3명이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취약계층에 대한 양질의 일자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규직에 대한 과보호를 완화하고, 해고비용을 낮춤으로써 기업들이 정규직과 같은 양질의 일자리 채용 기회를 늘릴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유진성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유연근무제도, 근로시간 유연화 등을 통해 고용위기 시에는 시간제 일자리로의 전환이 가능한 근무형태의 다양화 방안도 모색하여 실직의 위험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현금지급과 같은 사회적 안전망은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선별적으로 지원하고 취약계층의 근로의욕을 저하시키지 않고 노동시장으로의 복귀를 촉진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며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피플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