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코로나19 이후 국가총부채 증가…G20 평균보다 2.5배 높다"

  • 입력 2022.05.04 16:59
  • 수정 2022.05.04 17:28
  • 기자명 박예솔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국가총부채가 계속 증가세를 보이며 부채 위험 관리 필요성이 대두된다. 

4일 한국경제연구원의 '코로나 전후 국가총부채의 국제적 추세 분석'에 따르면 국제결제은행(BIS)의 통계자료를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국가총부채 비율은 지난 2017년 217.8%에서 지난해 3분기 기준 266.3%로 약 3년간 48.5%p 증가했다.

한국의 2017년 대비 지난해 국가총부채 비율 증가폭도 G20 평균의 약 2.5배로 나타났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한국의 국가총부채 비율은 266.3%로 2017년보다 48.5%p 상승했다. G20 평균 국가총부채 비율은 지난해 3분기 267.7%로 2017년 대비 19.6%p 증가했다. 2017년 한국의 국가총부채비율은 G20 평균보다 30.3%p 낮았으나 지난해에는 1.4%p로 격차가 대폭 줄어든 것이다.

한경연 임동원 연구위원은 "최근 5년간 국가총부채 비율이 급격히 늘어 다른 국가들과 그 격차가 없어진 점은 매우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부문에서 부채가 증가하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특히 가계부채비율은 증가 속도가 가팔라 서민과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특히 가계부채의 경우 G20 평균의 5.8배 수준으로 늘어났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은 2017년 89.4%에서 지난해 3분기 106.7%로 17.3%p 늘어난 반면 G20 평균 가계부채비율은 같은 기간 62.1%에서 65.1%로 3%p 증가한 데 그쳤다.

G20뿐 아니라 BIS에 관련 통계가 보고된 43개국 중에서도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 증가폭은 두 번째로 컸다. 10%p를 넘는 국가는 한국을 비롯해 홍콩(21.6%p), 중국(13.5%p), 태국(11.6%p) 등 4개국에 불과했다.

한경연은 물가가 오르고 가계실질소득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금리가 인상되면 가계부채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달 국제통화기금(IMF)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로 올리고 경제성장률 전망을 2.5%로 내렸다.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경우 이자 부담이 늘어나면서 가계부채 리스크가 경제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임동원 한경연은 연구위원은 "기업부채보다 가계부채가 G20 국가 평균보다 훨씬 높아 심각한 상황으로 부채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재정·금융위기로 전이될 수 있다"며 "규제개혁 등으로 성장력 제고 및 소득 증가를 유인해 가계·기업부채를 줄이고, 정부부채도 재정준칙 도입 등 재정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피플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