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들 칼럼] 환경지능 AI의 능재能載와 능파能破

인공지능과 중용 Vol.14

  • 입력 2018.08.06 17:49
  • 수정 2018.08.06 19:16
  • 기자명 고리들 <인공지능과 미래인문학> 저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왈子曰 색은행괴素隱行怪 후세유술언後世有述焉 오불위지의吾弗為之矣 군자君子 준도이행遵道而行 반도이폐半塗而廢 오불능이의吾弗能已矣 군자君子 의호중용依乎中庸 둔세불현지이불회遯世不見知而不悔 유성자능지唯聖者能之 / 군자지도君子之道 비이은費而隱 필부지우夫婦之愚 가이여지언可以與知焉 급기지야及其至也 수성인역유소부지언雖聖人亦有所不知焉 부부지불초夫婦之不肖 가이능행언可以能行焉 급기지야及其至也 수성인역유소불능언雖聖人亦有所不能焉 천지지대야天地之大也 인유유소감人猶有所憾 고군자어대故君子語大 천하막능재언天下莫能載焉 어소語小 천하막능파언天下莫能破焉 / 시운詩雲 연비려천鳶飛戾天 어약우연魚躍於淵 언기상하찰야言其上下察也 군자지도君子之道 조단호부부造端乎夫婦 급기지야及其至也 찰호천야察乎天地

중용 11장 12장은 상호모순이 많아서 함께 보면서 미래를 위한 중용을 생각해본다. 공자는 색은행괴素隱行怪를 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군자지도가 비이은費而隱(넓고 깊다)이라고 했다. 즉 깊고 은미한 것을 찾지 않지만 도는 은미한 곳에 있다는 뜻으로 해석한다면 두 문장은 모순이 된다. 물론 전자의 은隱은 부정적인 것 후자는 긍정적인 것일 거다. 하지만 원래 은미한 것들을 어떻게 긍정성과 부정성 구분을 하랴. 이후 도를 지속적으로 행할 수밖에 없다는 말은 노력의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본다. 
도는 넓어서 누구나 행할 수 있지만 그 깊이로는 성인도 지킬 수 없다는 비이은費而隱에 대한 해설이 이어진다. 그러다가 군자가 거대한 말을 하면 천하가 다 담을 수 없고 작고 섬세한 말을 하면 천하가 더 쪼갤 수 없다고 한다. 이 문장은 도道의 비이은費而隱에서 비費의 극대함과 은隱의 극미함을 말하고 있다. 게다가 더 뒤에는 어약우연魚躍於淵이 나온다. 물고기나 고래가 수면을 돌파하여 공중에서 묘기를 부리다가 다시 물로 다이빙하는 장면을 생각하면 된다. 이 말은 현세의 가치관과 패러다임을 벗어나서 다른 차원을 즐기는 장면이다. 마지막은 보통 사람들의 삶에서 보이는 도가 점차 커지면 결국 천하를 모두 비춘다는 결론이다. 

필자는 중용 11장 12장에서 가장 모순되는 두 성어가 색은행괴素隱行怪와 어약우연魚躍於淵이라고 생각한다. 앞에서는 중용을 지켜 함부로 나대지 말거라 해놓고 뒤에서는 물고기가 물을 벗어나는 비약과 도약을 즐기니 그런 도가 천하를 비추고 밝힌다고 한다. 필자가 이렇게 모순을 이루도록 해석하는 이유가 있다. 공자가 저런 말을 하던 시대는 그만큼 혼란과 모순이 많았다. 필부와 학자들 간의 지식의 차이도 너무나 컸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시대가 아니다. 핵무기의 위협과 기상이변과 환경파괴의 재해가 점차 커지고 있지만 다른 부분들은 그동안 어약우연과 색은행괴를 끊임없이 해온 인류들에 의해서 세상을 밝히고 있다. 지식을 쌓는 시대에서 지식을 찾아서 엮는 시대로 바뀌다가 급기지야及其至也 지식을 생산하고 찾고 응용하는 것까지 인공지능에게 맡기고 있다. 

스타트업 ‘JITX’는 복잡한 전자회로 보드 설계를 자동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고 한다. MIT 연구진은 세포 크기의 로봇을 개발했는데 심지어 공기 중에 떠다니며 환경을 센싱하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고 했다. 여성의 난자 크기 로봇은 사람의 몸속에서 건강을 위한 정보도 모을 수 있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다. 세포보다 더 작은 나노봇이 등장할 것이다. 더 많은 빅데이터가 곧 폭발을 하게 될 것에 발맞추어 인공지능은 진화를 하고 있는데, 최근 앰비언트 인텔리전스(Ambient Intelligence)란 개념이 등장해 인공지능의 융복합화 기술의 현실화를 예고하고 있다. 
앰비언트는 공기나 분위기를 뜻하는 프랑스어 앙비앙스(ambiance)이다. 모든 사물에 센서링 나노칩이 붙거나 작은 컴퓨터가 들어가거나 하여 인공지능 인터넷이 그 사물들과 연결되는 사물지능(Intelligence of Things)이란 말을 넘어서 이제 환경지능(Ambient Intelligence)이란 말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현대물리학은 더 이상 깰 수 없다는 뜻을 가진 원자(atom)를 깨서 그보다 작은 것을 연구하고 있다. 원래 교실 크기의 컴퓨터는 작아지더니 공기 중에 떠다니게 되었다.

과연 능파能破의 시대이다. 환경지능은 언제 어디서든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해 필요로 하는 장소와 시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전편에서 미래의 기술적 유토피아는 기술의 흔적을 숨기는 캄테크(calm+technology)가 표준이 될 것이라 했다. 환경지능처럼 조용한 캄테크가 어디에 있을까? 우리는 아마 살아서 우리 몸에 들어오는 컴퓨터와 공기를 떠다니는 컴퓨터가 있지만 볼 수는 없는 공기(환경)지능 속에서 살게 될 것이다. 그래서 신독을 다룬 칼럼에서는 각자의 타고난 감정들을 따르거나 다스려서 호모루덴스의 원형을 향해 즐겁게 몰입해 들어가는 것이 앞으로의 신독愼獨이라 했다.

어차피 모든 것이 인공지능에게 노출되고 마음만 먹으면 누군가의 24시간을 볼 수 있는 환경지능(공기지능)의 시대가 오기에 어차피 노출은 자연스러운 일상이 된다. 24시간 노출이 되는 환경지능의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는 즐기는 다양성으로 24시간을 채우는 것이 어울린다. 이런 면에서 중용 11장을 둔세불현지이불회遯世不見知而不悔를 다시 살펴볼 필요가 생긴다. 환경지능 시대에 둔세가 가능할 것인가? '고흐'의 시대에 인터넷이 있었더라면 그는 살아서 스타가 되었을 것이라는 말이 있다. 당시 '고흐'는 인부지이불온人不知而不慍을 위해 동생에게 편지를 쓰면서 글쓰기 힐링을 해야 했다. 그러나 다가오는 시대는 둔세불회遯世不悔나 인부지불온人不知不慍의 세상은 아닐 것이다.

저작권자 © 피플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