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칼럼] ‘채용 비리’, 보다 강도 높게 징계해야

  • 입력 2018.02.06 17:39
  • 수정 2018.02.06 17:43
  • 기자명 이원호 대학생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공공기관의 채용 비리 관련 보도가 연일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다. 정부의 ‘공공기관 채용비리 특별점검’ 결과, 전체 1,190개 기구의 약 80%인 946개 기구에서 채용 비리가 적발되었다. 전체의 ‘80%’라는 ‘비율’이 놀라운가? 비리의 ‘유형’은 그보다 더 대단하다. 면접 점수를 조작하는 ‘전형적인’ 방식은 물론, 면접관 중에 응시자의 부모가 앉아있거나, 서류조차 내지 않았는데 합격한 사례도 있었다. 정부는 이들 기관 가운데 매우 중대한 혐의가 의심되는 기관에 대해서는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였고, 관련 공공기관장들을 즉시 해임했다. 

공공기관들은 정부가 즉각적으로 시정 조치를 취할 수 있으니 조금은 다행이라고 할 수 있겠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일들이 사기업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은행을 비롯하여 국민은행, 하나은행 등 국내 굴지의 은행들의 채용 과정에서도 이와 같은 비리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최근 보도를 통해 해당 은행사들이 ‘SKY’ 출신, 혹은 ‘사장 지인의 자녀’, ‘회장의 증손녀’ 등을 면접 점수를 조작해가면서 특혜 채용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러한 특혜 채용 의혹에 대해서 해당 은행들은 ‘현재는 입장을 밝힐 수 없고, 검찰에서 혐의를 소명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뉴스를 볼 때, 취업 준비에 매진하고 있던 우리 ‘청춘’들은 정말이지 온몸에 힘이 쭉 빠진다. ‘더 열심히 노력한다고 해서, 마음을 바꿔먹는다고 해서 성공할 수 있는 세상이 아니구나.’라는 생각만 커져간다. 그 좁디좁은 취업 문을 뚫어보겠다고,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말을 들어가면서까지 아득바득 달려왔던 그간의 노력이 무의미하게 느껴질 뿐이다. 실제로 한국행정연구원이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8,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사회통합실태조사에 따르면, ‘노력을 통한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이 가능하다’고 답한 사람은 2013년 61%에서 2016년 48.5%로, 3년간 10% 이상 하락했다. 불공정의 만연 속에서 청년 세대들은 점점 삶을 살아가는 희망을 잃어 가고 있었다.

행동경제학의 권위자인 댄 애리얼리(Dan Ariely) 교수는 자신의 저서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에서 “최초의 부정행위가 어떤 사람이 자기 자신 및 그 시점 이후의 자기 행동을 바라보는 방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한 번 부정행위를 하고 나면 ‘어차피 이렇게 된 거’라는 생각으로 계속해서 그 행위를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우리는 이 말을 새겨들어야 한다. ‘취업’은 한 개인이 진정한 사회인으로서 내딛는 ‘첫걸음’이다. 취업 과정에서의 부정은 단순히 그때 그 순간만을 정의롭지 못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한 개인을 평생 정의롭지 못한 사람으로 만들 수도 있다. 마치 작은 구멍으로 인해 거대한 댐이 무너지는 것처럼 말이다.

국가는 모든 국민이 희망을 품고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 정의를 바로잡아야 할 의무가 있다. 정치권과 검찰은 이번 채용 비리 사건을 절대로 ‘대충’ 넘겨서는 안 된다. 전임 정부들에서 이미 수차례 ‘대충’ 넘기다 보니 사회적 불평등이 더욱 깊어져 일이 이 지경까지 온 것이 아니겠는가. 사태 수습을 위해 공기업에 즉시 조치를 내린 것처럼, 사기업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최대한 빠르게 나서야 한다. 그리고 관련자들을 보다 강도 높게 징계·문책하여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취업 과정에서의 불공정한 행태로 인해 더 이상 우리 청년 세대가 ‘허무주의’와 ‘무기력증’의 늪에 빠지지 않도록 말이다.

저작권자 © 피플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