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칼럼] 故박래전 열사의 숭고한 희생

희생을 감내한 용기가 쌓여 현재가 존재한다

  • 입력 2017.07.25 14:59
  • 수정 2017.07.25 18:59
  • 기자명 김성현 대학생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혹은 '광주민중항쟁'은 1980년 5월, 광주 시민과 전라남도민이 중심이 되어 민주 정부 수립에 대한 염원과 신군부 세력에 대한 저항을 나타낸 대표적인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이다. 지지난달, 5.18 민주화 운동이 37주년을 맞았다. 文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5.18을 세상에 알리고 진상 규명을 외쳤던 4명의 열사들을 직접 호명하며, 민주화를 위해 힘썼던 ‘순국’ 열사들의 넋을 기렸다. 이 날 기념사는 국민들에게 여느 해보다 더 특별하게 다가왔을지도 모른다. 전례 없었던 국정농단 사태로 인하여 ‘민주주의’의 의미와 그 무게가 한층 더 커져 있었기 때문이다. 다음 달 8월, 5.18을 주제로 한 영화 ‘택시운전사’가 많은 사람들의 기대와 응원을 한껏 받고 있는 것 역시, 우리 국민성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깊은 관심의 또 다른 모습일지도 모른다. 최근 몇 개월 동안 대한민국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수많은 국민들의 힘으로 민주주의의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은 이러한 현재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 기반과 뿌리는 결코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文대통령이 호명한 4명의 열사들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나라를 위해 힘쓴 여러 젊음들의 숭고한 희생과 노력이 2017년 현재의 대한민국을 만들었다. 때문에 지금의 우리는 국민이 존중받는 나라를 꿈꾸며 젊음을 희생하신 수많은 열사들의 희생과 의미에 대하여 한번쯤 생각해보며 가슴속 깊이 존중을 표할 필요가 있을지도 모른다. 

故 박래전 열사
故 박래전 열사

故박래전 열사
많은 열사 분들이 존재하였지만 필자는 지금부터 文대통령이 호명한 열사 중 한 명인 故박래전 열사를 구체적으로 소개해본다. 1963년 4월 17일 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난 그는 유년 시절, 공부 보다 노는 것에 더 열정적인 학생이었다. 하지만 머리도 좋았고 의리도 남달랐다. 스스로가 옳은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서는 끝까지 자신의 의지를 굽히지 않고 고집을 부렸다. 또한 그의 친형이 학업을 이유로 고향 집을 떠났을 때 한 달 동안 밥을 제대로 먹지 않고 뒷산을 오르며 형을 그리워한 정 많은 사내였다. 시골에서 고등학교를 진학했던 그는 노는 것을 좋아했던 어린 시절과는 달리 도서관에 박혀서 시를 쓰기 시작했다. 당시부터 그는 시골 생활에 대한 답답함, 더 큰 사회로 나가는 꿈 등 또래와는 다소 다른 걱정과 고민을 가슴에 품고 있었다. 이후 숭실대학교 국문학과에 입학한다. 그는 서툴지만 자신만의 논리를 앞세워 여러 토론을 즐긴다. 술자리에서 진행된 그의 논리는 서툴었지만 열정적이었다. 그는 숭실대 서클인 ‘다형문학회’에 가입하여 문학에 대한 열정을 이어나갔다. 그리고 시인의 꿈을 키웠다. 하지만 80년대는 긴장과 공포가 공존하던 시대였다. 문학에 대한 열정과 함께 운동을 통해 사회의 부당함에 저항하고자 했던 그는 곧 여러 시련에 부딪히기 시작한다. 경찰이 집에 닥쳐 영장 없는 수색을 하고 본인이 직접 경찰서에 잡혀가기도 한다. 학교에서 ‘지도휴학’ 을 당한 뒤 반 강제로 군대에 입대하게 된 이후 그는 좀 더 단련되었다. 농민과 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의 입장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그가 즐겨 쓰던 시도 한층 발전하였다. 시위 현장에 화염병 나르는 것을 도와주다가 유치장에 간 그는 이후 자신을 걱정하시는 부모님을 위해 잠시 열정을 접어두고 농사에 매진한다. 하지만 바람직한 사회에 대한 뜨거운 열정은 다시 그를 앞으로 나가게 한다. 민중 후보로 나선 백기완 선생의 선거운동을 돕고, 선거국장 일을 하면서 다시금 열정을 불태웠다. 본인의 안위 보다 나은 국가, 정의가 실현되는 나라를 위해 힘썼던 그는 이후 1988년 숭실대 인문대 학생회장에 당선된다. 학내외 시위를 주도했던 그는 경찰서에서 경계 대상이었다. 그리고 당시는 5공청산과 5월의 광주와 관련된 여러 진상 규명이 한창이었던 시대였다.

숭고한 희생. 그리고 겨울 꽃(冬花)
그는 결국 숭고한 희생을 결정한다. 6월 4일. 숭실대학교 학생회관 옥상에서 분신자살하며 외쳤다. "광주는 살아있다. 군사 파쇼 타도하자. 청년학도여 역사가 부른다." 그는 이틀 뒤, 6월 6일 사망했다. 순국 당시 그의 나이는 고작 스물다섯.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없을 리 없었다. 하지만 그는 희생하였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자신의 희생을 통해 더 나은 국가로의 발전, 국민 모두가 존중받고 함께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었다. 현재 그의 모교 숭실대학교에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그리고 그곳에는 그의 유고시 ‘동화’가 새겨져있다.

故 박래전 열사의 유고시 '동화'
故 박래전 열사의 유고시 '동화'

그는 따사로운 날, 그저 평범하게 피는 가을꽃일 수 없었다고 말한다. 발의 사슬, 즉 현재보다 더 나은 나라를 만들기 위한 그의 의무감과 열정의 사슬은 꽃이 필 수 없는 차갑고 매서운 겨울이라는 암흑 같은 시대에 피어나 진정한 향기이기를 희망한다고 말한다. 그는 부정적 현실에서 피어나는 평범하지 않은 차가운 겨울 꽃을 희망했다. 그의 희생은 두려움을 이겨낸 숭고함이었고 더 중요한 것을 아는 용기였다. 그는 두려움이 없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더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알고 희생한 순국열사이며 매섭고 차가운 시대에 피어나는 ‘겨울 꽃’이었다. 

우리들이 가져야 할 자세
현재 ‘박래전열사기념사업회’ 회장을 맡고 있는 문재호 씨는 박열사의 대학교 후배였다. 문 씨는 박열사를 “인간적이며 맑고 순수한 형”이었다고 회상했다. “겁이 많고 순수한 사람, 그리고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셨던 분이셨다. 내가 현재 기념사업회 회장을 맡고 있는 이유는 당시 형(박 열사)의 가치와 고충을 공감해주지 못한 것에 대한 미안함일지도 모르겠다. 비록 형과 긴 시간을 함께하지 못했지만 현재까지도 나에게 가장 가치 있는 분이시다. 내가 가고자 했던 길에 대하여 의문을 품고 회의를 느낄 때, 선택의 순간 내게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새로운 기회를 주신 분이다.” 며 말했다. 또한 “20대가 주변을 돌아보며 래전이형 처럼 숭고하고 맑은 가치관을 가지고 올바른 방향성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故박래전열사기념사업회 '문재호' 회장
故박래전열사기념사업회 '문재호' 회장

앞서 언급했듯이 한 나라의 기반과 모든 체제는 결코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희생이라는 두려움을 감내한 박열사와 같은 분들의 용기가 쌓여 현재의 대한민국이 존재한다. 우리는 용기 있는 희생을 선택하신 순국열사들에게 감사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이들의 보이지 않은 곳에서의 움직임이 현재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대한민국의 주인으로써 책임감을 가지고 그 희생에 감사하는 마음을 한번쯤 되새길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은 마음가짐과 방향성, 그리고 맑은 가치관들이 곧 미래의 밝은 대한민국을 만드는 자양분이 될 것이다. 

*참고도서 : 박래군, '사람 곁에 사람 곁에 사람' , 클 (2014)

 

저작권자 © 피플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